전체 글

반응형
java.lang.ClassNotFoundException: org.springframework.web.servlet.DispatcherServlet

 

Spring + Maven 프로젝트 실행 시 다음과 같은 예외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.

[오류]
심각: Servlet /Mybatis threw load() exception
java.lang.ClassNotFoundException: org.springframework.web.servlet.DispatcherServlet
 at org.apache.catalina.loader.WebappClassLoader.loadClass(WebappClassLoader.java:1702)

Maven Dependency를 이용하여 추가한 Library들이 위의 Web Deployment Assembly에 등록되지 않은채 배포되기 때문에 java.lang.ClassNotFoundException 이 발생하게 된다.

Properties -> Deployment Assembly -> Add Click -> Java Build Path Entries -> Next -> Maven Dependencies -> Finish

실행하면 Console 창에 정상적인 로그가 출력됩니다.

 

반응형

포도나무 훈연칩

2014. 4. 20. 11:17
반응형

은성관광농원에서 얻어온 포도나무 훈엽칩

 

 

 

 

 

 

물에 30분 이상 담가두웠다가 사용해 봤는데 역시!! 과실나무라서 그런지 포도에 달달한 향이 육질에 더해져 정말 맛이 따봉^^

포도나무 훈연칩은 당류가 주성분이라 달달한? 포도나무 특유에 훈연향이 나오는듯~

비어캔 치킨에 빠질수없는 손님이죠 큭

1kg인데 2kg 처럼 보이는 양..큭

주문은 은성관광농원 010-7131-1983 에서 가능해요

 훈연칩 사용기 블로그 이동

 

반응형

'일상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뚝딱이를 위한 생활용품  (2) 2015.03.08
뚝딱 웰컴!  (0) 2015.03.08
네스프레소 시티즌앤밀크~  (0) 2015.02.16
[장비] 웨버 스모키조 37 확장툴 만들기  (0) 2014.02.13
[장비] 삼각스토퍼, 콜팩, 카라비너  (0) 2014.02.13
반응형

 

정상적으로 실행되던 톰켓에서 아래와 같은 오류를 뱉어 낼 경우가 간혼 있다.

Setting property 'source' to 'org.eclipse.jst.jee.server:프로젝트명' did not find a matching property.

그럴 경우 톰캣 설정에 Server Option 탭에 아래와 같은 설정 후 재기동.

 


 


반응형

'Programming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Java] Collection sort  (0) 2016.01.07
[Java] GMT/UTC 날짜 변환  (1) 2015.04.08
올바른 eqals() 사용법  (0) 2014.02.07
[Java] split 문자열 나누기  (0) 2014.02.05
java e.printStackTrace 로그 남기기  (0) 2014.01.17
반응형
spring기반 json + ajax 처리

mappingJacksonHttpMessageConverter는 @ResponseBody, @RequestBody 어노테이션 사용시 JSON String을 javaClass(get, set)에 자동으로 맵핑이 되도록 변환을 해주는 스프링 애너테이션입니다.

우선 MappingJacksonHttpMessageConverter 관련 bean 설정이 필요합니다.

-board-servlet.xml

<bean id=jacksonMessageConverter class="org.springframework.http.converter.json.MappingJacksonHttpMessageConverter ">
</bean> 
<bean class=org.springframework.web.servlet.mvc.annotation.AnnotationMethodHandlerAdapter> 
	<property name="messageConverters"> 
		<list> 
			<ref bean="jacksonMessageConverter" /> 
		</list> 
	</property> 
</bean>

 

@RequestBody는 클라이언트에서 jsonObject로 전송되는 파라미터를 자동으로 javaClass 형식으로 변환한다. (UserBean Class 는 클라이언트에서 받을 파라미터를 get, set 으로 작성하면, bean에 등록된 massageConverters에서 자동으로 javaClass 형식에 맞게 컨버팅이 이뤄진다.)

@ResponseBody는 클라이언요청을 서버에서 처리 후 메소드가 리턴하는 오브젝트를 messageConverters를 통해 json 형태로 변환하여 리턴해주는 역활을 한다.

-UserController.java

  @RequestMapping(value="getLoginCheck.ajax", method=RequestMethod.POST) 
  public @ResponseBody UserBean loginCheck(@RequestBody UserBean userBean){ 	
  	logger.info("userBeanD.getJ_username(){}", userBean.getJ_username()); 	
  	userBean = userService.getUsers(userBean.getJ_username()); 	 	
  	return userBean; 
  }

 

ajax 통신을 위해 jquery ajax method 설정을 아래와 같이 jQuery로 선언해준다.

var _param = {j_username:$("#j_username").val(), j_password:$("#j_password").val()};

_data = JSON2.stringify(_param); //jsonString으로 변환

_url = "localhost:8080/login/getLoginCheck.ajax";

-common.js

$.ajax({   
	type : 'POST',   
    url : _url,   
    cache: false,   
    dataType: "json",   
    data: _data,      
    processData: false,   
    contentType: "application/json; 
    charset=utf-8",    
    success : function(data, status){       
    	console.log("status:"+status+","+"data:"+data);       
        alert(data.nm);    
    },   
    error: function(request, status, error){       
    	//alert("loading error:" + request.status);       
        console.log("code : " +  request.statusText  + "\r\nmessage : " + request.responseText);     
    } 
});
반응형

jquery ajax method 정리

2014. 3. 12. 09:53
반응형
$.ajax({
	type: 'POST',
	url: _url,
	cache: false,
	dataType: "json",
	data: _data,   
	processData: true,
	contentType: "application/json; charset=utf-8", 
	success: function(data, status){
	},
	error: function(request, status, error){
	}
});


 Name

 Value/Description

 파라메터는 한 개 이상의 name/value 쌍으로 표시

 async

 Boolean 값

 요청이 비동기식으로 처리되는지 여부를 나타냄 기본값은 true

 beforeSend(xhr)

 

 요청을 보내기 전에 실행되는 함수

 cache

 Boolean 값

 브라우저가 요청된 페이지를 캐싱해야 하는지 여부를 나타냄

 complete(xhr,status)  요청이 완료됐을 때 실행되는 함수
 contentType  서버로 보내지는 데이터의 content-type
기본값은 “application/x-www-form-urlencoded"
 dataFilter(data,type)  XMLHttpRequest의 응답 데이터를 처리할 때 사용되는 함수
 dataType  서버 응답으로 받는 데이터 타입
 error(xhr,status,error)  요청이 실패했을 때 실행되는 함수
 global Boolean 값 요청에 대해 전역 AJAX 이벤트를 실행할 지 여부를 명시함
 jsonp  jsonp 요청에서 callback 함수를 오버라이딩하는 문자열
 jsonpCallback  jsonp 요청에서 callback 함수 이름을 나타냄password
 password  HTTP 접근 인증(access authentication) 요청에 사용할 password를 나타냄
 processData Boolean 값 요청으로 보낸 데이터를 query string 형태로 변환할지 여부를 나타냄 기본값은 true
 scriptCharset  요청할 때의 charset을 나타냄
 success(result,status,xhr)  요청이 성공했을 때 수행되는 함수
 timeout  요청에 대해 로컬의 응답제한시간(timeout)을 밀리초로 나타냄
 traditional Boolean 값 파라미터 직렬화를 기존 방식으로 사용할 지 여부를 나타냄
 type  요청 type(GET 혹은 POST)을 명시함
 url  요청을 보낼 URL을 나타냄 기본값은 현재페이지
 xhr  XMLHttpRequest 오브젝트를 생성할 때 사용하는 함수


반응형
반응형

Tomcat error

Caused by: java.lang.IllegalStateException: Ambiguous mapping found. Cannot map 'socialController' bean method

톰켓 Console에서 위와 같은 오류가 발생한 경험이 있다.

알고 보니 두개에 Controller에서 동일한 URL 맵핑으로 method가 정의 되어 있어서 발생하는 경우 이다.

-homeController.java

@RequestMapping(value = "/facebook/posting") 
public void postings(String message , String accessToken, HttpServletRequest request, HttpServletResponse response)  

-socialController.java

@RequestMapping(value = "/posting") 
public void posting(String message, String accessToken, HttpServletRequest request, HttpServletResponse response) 

한곳의 Request Mapping을 변경하면 해결 된다.

반응형

+ Recent posts

반응형